Blockchain Basics
본 장에서는블록체인에 대한 개념을 설명합니다.
용어 | 설명 |
---|---|
Private Key | 공개 키 기반 구조에서 사용되는 비대칭 키 쌍 중 공개되지 않고 비밀리에 사용하는 키를 의미합니다. |
Public Key | 공개 키 기반 구조에서 사용되는 비대칭 키 쌍 중 외부에 공개된 키로, 블록체인 상에서 주소를 의미합니다. |
ERC-20 Token |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발행된 토큰의 표준을 의미하며, 발행된 토큰은 블록체인 플랫폼에서만 이용이 가능합니다. |
ERC-721 Token |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대체 불가능한 고유한 토큰을 의미하며,발행된 토큰은 블록체인 플랫폼에서만 이용이 가능합니다. |
Base Fee | 거래를 발생 시키기 위한 기본 수수료입니다. EIP-1559 이후 기본 수수료는 소각됩니다. |
Max Priority Fee | 블록 생성자에게 온전히 돌아가는 보상으로 거래가 빨리 수행될 수 있도록 인센티브의 역할을 합니다. 높은 Priority Fee를 제공할수록 거래는 빨리 수행 될 확률이 높습니다. |
Max Fee | 최종적으로 발송자가 거래를 실행하기 위해 낼 수 있는 수수료의 최대 한계값입니다. Base Fee와 Max Priority Fee의 합보다 커야되고, 남는 수수료는 다시 환불됩니다. |
Test Coin | 테스트 넷에서 발행한 코인으로 테스트 용도로 사용되는 코인입니다. |
TestNet WEMIX(TWEMIX) | WEMIX Testnet에서 발행된 기축통화를 의미합니다. |
Transfer | 특정 지갑이 가진 자산을 다른 지갑으로 전송하는 행위입니다. |
Minting | 동전과 같은 법정화폐를 주조할 때 쓰이는 단어로, 블록체인에서 자산을 생성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. |
Burn | 코인 혹은 토큰을 소각한다는 의미로, 블록체인 상에 개인키가 없는 주소로 전송하여 사용할 수 없도록 하는 행위입니다. |
Staking | 보유하고 있는 디지털자산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맡기는 것을 의미합니다. |
Transaction | 디지털자산을 다른 지갑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거래의 기록단위입니다.. |
Transaction Hash(txHash) | 거래의 유일한 식별자입니다. |
TPS | 블록체인에서 1초당 처리할 수 있는 트랜잭션 개수를 의미합니다. |
Contract Address | 블록체인에서 계약을 실행하기 위한 주소를 의미합니다. |
PoA | 작업증명의 대안으로 나온 방식으로 일부 검증자들에 의해 블록을 생성하는 모델입니다. |
On-Chain | 온체인은 블록체인에서 거래가 발생하여 기록되는 것을 말합니다. 반대로 오프체인은 블록체인 밖에서 거래가 발생하여 기록되는 것을 말합니다. |
Hard Fork | 기존 블록체인의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새로운 블록체인을 만들어 분기시키는 작업을 의미합니다. |
End Node | 블록체인의 서브 네트워크인 ENN에 위치하며, 사용자의 서비스 처리역할을 직접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운영됩니다. |
p2p | 중앙 서버를 거치지 않고 클라이언트 간 직접 통신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. |
Gwemix | go-wemix라고도 부르며, go 프로그래밍 언어로 구현된 노드를 실행하기 위한 명령 도구입니다. |
ECDSA 알고리즘 | 블록체인에서는 거래가 발생할 때 전자서명을 이용합니다. ECDSA는 타원곡선을 이용하여 전자서명을 수행하는 알고리즘입니다. |
Last modified 23d ago